https://festivalife.tistory.com/2
PM과 기획자의 차이
PM : 프로젝트 총괄 책임자
문서작성 多, 인력관리, 이슈 체크, 기획-디자인-개발 상황 전부 파악
기획자 : 프로젝트 목적 달성을 위해 방향성을 그리는 역할
PM과 실무자 간 프로젝트 진행 과업 차이
리멤버 댓글에서 찾은 PM과 기획자의 차이
굳이 따지자면 2종오토면허와 대형면허 같은 차이랄까요. 기획자는 미래의 달콤함을 다루고 피엠은 과정의 고통과 위험을 다뤄요.
PM은 일정 수립은 물론 비용도 관리해야 하고 플젝에 필요한 조달 및 인적자원도 관리해야 합니다. 기획자가 요구사항을 구체화하고 의사 소통을 한다고 하면 PM은 산출물의 인도 책임을 맡게 됩니다.
기획자는 사업을 계획단계에서 사업기획하고, 그에 필요한 자원계획 등을 수립 PM은 그 계획된 사업 또는 프로젝트의 계획단계부터 종료때까지 완수함을 관리
https://ppss.kr/archives/225945
PM의 핵심 역할
- 프로덕트 정보: 신규 출시, 혹은 개선하려는 제품의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이고, 제품 히스토리와 이해관계자들의 역할도 꿰뚫었다.
- 시장 정보: 경쟁사의 동향 및 마켓에서 들려오는 여러 주요한 의견들을 취합해서, 현재 시장에서의 포지셔닝을 파악하고 제품이 다음 단계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 비즈니스 성공의 명확한 목표: 신규 출시, 혹은 개선하려는 제품이 시장에서의 성공하려면 어떤 지표를 모니터링해야 하는지 명확한 성공 매트릭스를 파트너들에게 제시한다.
- 디자인과 개발 지식: 프로젝트 기획 시, 어떤 디자인과 기술이 실제로 적용될지 아직 모르는 상황임에도 어느 수준의 디자인 혹은 기술적인 노력이 최종적으로 필요할 것인지 대략적으로 그림을 그린다. 이는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범위과 타임라인, 런칭 시기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다.
- 우선순위 정의 및 관리: 프로젝트를 통해서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들이나 이슈들 중에서 해당 일정 가운데 꼭 진행해야 할 부분들의 순위를 중요도, 긴급성, 파급력 등을 고려해서 정한다. 그리고 보통 하나의 큰 프로젝트를 길게 끌고 가는 것이 아니라, 2–3개월씩 해결할 수 있는 분량으로 쪼개서 프로젝트들의 우선순위를 관리하며 전체적으로 롱텀 플랜으로 계획한다.
- 일정 관리: 큰 틀에서의 일정은 보수적으로 계획하되, 세부적인 프로세스는 유연하게 관리해서 함께 일하는 디자이너와 개발자들이 전체 일정에 쫓기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디자이너의 핵심 역할- 디자인의 논리: 디자인이 ‘이래야 한다’고 설명할 수 있는 단단한 논리와 근거를 제시한다. 많은 경우 PM은 시장에서 얻은 정보와 본인이 가진 기존 경험으로 디자이너가 제시한 디자인에 제동을 거는 경우가 많다. 이를 염두하지 않은 채 단순히 심미적으로만 접근하면 디자이너는 PM이 원하는 디자인을 ‘그려주는’ 역할밖에 못 하게 된다.
- 사용자 정보: 사용자의 정량적 및 정성적 데이터를 충분히 리서치한다. PM은 제품과 시장의 정보가 탄탄하다. 하지만 사용자 정보는 그와 다르다. 모든 디자인의 출발과 목적지는 사용자이다. 시장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은 현상이고, 진짜 본질은 사용자의 제품 사용 패턴에서 발견할 수 있다. 문제의 본질을 알아야 디자인의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그리기 시작할 수 있다.
- 비즈니스와 기술적인 부분의 지식: PM이 디자인에 여러 의견을 적극적으로 내는 것만큼, 디자이너도 프로젝트의 방향성에 의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진행 중인 프로젝트가 기여하게 될 비즈니스 영역의 특성 및 트렌드, 최근 데이터 등은 알아야 디자인 진행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 다양한 옵션 준비: 디자인을 제안할 때는 최소한 항상 ‘최선의 것’과 ‘최고의 것’을 준비한다. ‘최선의 것’이라 함은 주어진 환경과 리소스 안에서(일정, 참여하는 개발자 수 등) 완성하고 런칭할 수 있는 최선의 디자인 제안을 말한다. 반면에 ‘최고의 것’은 주어진 환경과 리소스를 극복한다면 디자인이 어디까지 발전될 수 있는지, 지향하는 최고의 사용자 경험을 보여줄 수 있는 디자인 제안을 말한다. 따라서 ‘최고의 것’이 충분히 매력적이고 설득적으로 받아들여진다면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범위와 일정, 프로젝트와 관련된 여러 리소스 등도 변경될 수 있다.
- 일정 관리: 디자인 프로세스 내에서의 세부적인 일정 관리를 하고 협업하는 동료들과 공유한다. 이 부분을 간과하면 PM, 개발자들의 일정까지도 망칠 수 있다. 반대로 상세한 일정을 공유하면 (대부분의 경우) 디자인을 완성하는 데까지 필요한 일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 https://brunch.co.kr/@givemore/51
가치를 만드는 활동을 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사업의 성장을 원한다. 특히 사업이 정체되어 있는 경우에는 성장에 대한 갈망이 더욱 커진다. 추가적으로 고객을 늘리기도 쉽지 않고 더 이상 무엇을 해야 할지 막막할 수도 있
brunch.co.kr
https://www.affde.com/ko/marketing-vs-branding.html
마케팅 vs. 브랜딩 :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그리고 그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 Affde 마케
마케팅 vs. 브랜딩 :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그리고 그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게시 됨: 2020-12-04 종종 사람들이 마케팅이라는 단어를들을 때, 그들은 비즈니스를 "마케팅"하는 표면 아래에
www.affde.com
브랜딩은 마케팅의 하위 집합입니다. 그것은 마케팅의 한 측면이지만 마케팅과 관련된 유일한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마케팅에는 광고도 포함됩니다. 그리고 많은 경우 사람들은이 두 용어를 서로 바꿔서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마케팅 대 광고 블로그에서이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마케팅의 주요 초점은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브랜딩은 마케팅이 고객과 소통하는 방법 중 하나 일뿐 소통하는 유일한 방법은 아닙니다.
귀사의 제품과 솔루션은 가치를 전달합니다. 가격은 귀하의 가치를 전달합니다. 귀하의 광고 및 홍보 채널은 귀하의 가치를 전달합니다. 웹 사이트와 지리적 위치는 고객과 소통하는 데에도 도움이됩니다.
브랜딩은 고객과 소통하려는 시도에서 마케팅을 지원할 수있는 최상의 방법으로 마케팅 메시지를 제시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나쁜 브랜딩을 마케팅 할 수 없습니다. 그런 식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브랜딩의 중요한 포인트
언급했듯이 브랜딩은 사람들이 귀하의 브랜드를 만날 때 느끼는 느낌입니다.
https://brunch.co.kr/@cometonaugh/47
이탈율을 막는 ux 디자인
https://brunch.co.kr/@userhabit/46
사용자 행동데이터 기반의 앱 UX 개선 사례
유저해빗을 통한 실제 UX 변화 사례 살펴보기 | 이번 시간에는 유저해빗을 사용하여 실제 앱의 변화를 이끌어낸 사례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사실 이 질문은 저희가 서비스를 하며 가장 많이 듣
brunch.co.kr
'IT 업글인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 진행관련 (0) | 2022.02.07 |
---|---|
노션관련 팁 (0) | 2022.01.26 |
업무메모 (0) | 2021.09.23 |
블로그를 클라우드 메모로 쓰면 좋은이유 (0) | 2021.04.21 |
클라우드 시스템-구글달력 공유하기/음력달력 사용하기 (0) | 2021.02.18 |